(1) 念身不求無病 (염신불구무병). 身無病則貪欲易生 (신무병즉탐욕이생)
첫째,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다.
(2) 處世不求無難 (처세불구무난). 世無難則驕奢必起 (세무난즉교사필기)
둘째,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교만과 사치한 마음이 일어난다.
(3) 究心不求無障 (구심불구무장). 心無障則所學躐等 (심무장즉소학엽등)
셋째, 공부하는 데에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된다.
(4) 立行不求無魔 (입행불구무마). 行無魔則誓願不堅 (행무마즉서원불견)
넷째, 수행하는데 마(魔) 없기를 바라지 말라. 수행하는 데에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한다.
(5) 謀事不求易成 (모사불구이성). 事易成則志存輕慢 (사이성즉지존경만)
다섯째, 일을 계획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라. 일이 쉽게 풀이면 경솔해지기 쉽다.
(6) 交情不求益吾 (교정불구익오). 交益吾則虧損道義 (교익오즉휴손도의)
여섯째,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가 이롭고자 한다면 의리를 상하게 된다.
(7) 于人不求順適 (우인불구순적). 人順適則心必自矜 (인순적즉심필자긍)
일곱째,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주기를 바라지 말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 진다.
(8) 施德不求望報 (시덕불구망보). 德望報則意有所圖 (덕망보즉의유소도)
여덟째, 공덕을 베풀 때는 과보(果報)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게 되면 불순한 생각이 움튼다.
(9) 見利不求沾分 (견리불구첨분). 利沾分則痴心亦動 (리첨분즉치심역동)
아홉째,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말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기기 쉽다.
(10)被抑不求申明 (피억불구신명). 抑申明則怨恨滋生 (억신명즉원한자생)
열째, 억울함을 당할지라도 굳이 변명하려고 하지 말라. 억울함을 변명하다 보면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