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는 우리 불자에게 복되게 살아가도록 보시(布施)를 가르쳐 주십니다. 재보시, 법보시, 무애보시를 가르치시며, 또 무재칠시(無財七施) 즉, 물질 없이 베푸는 법을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로 가르쳐 주십니다.
![](https://blog.kakaocdn.net/dn/9dsaP/btrY5llmyMF/J5Ebm2fPv0ijtK2KtsTz8K/img.gif)
1. 안면열색시 (顔面悅色施)
웃는 얼굴이나, 화사한 얼굴로 다른 사람을 대할 때, 기쁨을 줄 수 있고 행복도 줄 수 있습니다. 밝은 모습으로 인사를 한다면 즐겁게 인사를 받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kUC5I/btrY1mLA3vW/n7L99gzBm66ifnuJldlxD0/img.gif)
2. 안시 (眼施)
어여쁜 눈은 남에게 편안함을 주며 즐거움, 기쁨을 줄 수 있겠지요. 또 빛나는 눈빛은 남에게 희망을 줄 수 있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bQ1iOX/btrZbQdiGeJ/m8nt4VISY8y9k9LSRfL9Bk/img.gif)
3. 신시 (身施)
단정한 모습이라던지 바른 행동, 편안함을 주는 모습은 모범적이며 삶의 가치를 일러주게 됩니다. 예절을 갖추어 상대를 대하는 모습은 복이 되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U36rp/btrZbscGLZt/oHKOQoMPl0KfJHn37Za7B0/img.gif)
4. 언사시 (言辭施)
바른말, 즐거운 말, 남에게 희망을 주는 말이야 말로 복을 주는 말이 되겠지요. 바르게 예의를 갖추어 좋은 말을 할 때 인격적으로 존경을 받고 구업 (口業)을 짓지 않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bGa7p/btrZbPSWDc2/hBKDyZI5Wvsb1HvyM7GFP1/img.gif)
5. 심시 (心施)
남을 시기하고, 미워하고, 남 잘되는 모습을 증오하는 나쁜 마음을 버리고, 착한 마음, 좋은 마음, 남 잘되면 칭찬하고, 축하해 주고 남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면 보시가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Nb19/btrZbrSltDf/Qm1rn5uke5J1Gr2avcRyA1/img.gif)
6. 상좌시 (床座施)
윗사람을 공경하고, 따르고, 노인들을 보살피며 예절을 중요시하는 삶이야 말로 큰 보시가 됩니다. 유교의 오륜 (五倫)에도 장유유서 (長幼有序)를 가르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jeVlk/btrY2ncJNy9/7AoWcu01W9O0PUXjb7V8G0/img.gif)
7. 방사시 (房舍施)
이웃을 보살피며 손님이 오면은 불편치 않도록 보살피며 내 가족과 같이 생각하며 보살피는 공덕이야말로 보시 중에 보시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잡보장경(雜寶藏經)]